수업내용/목표
*본 강의는 2018년 정부(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 '특수외국어교육 진흥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결과입니다.
주차 |
주차명 |
차시명 |
학습요소 |
1 |
태국어와 태국문자의 특성 |
강의: 태국어의 특성 |
강의영상 (주교재 : 1-1강 교재) |
강의: 24자 자음의 명칭과 기본모음 |
강의영상, 퀴즈 (주교재 : 1-2강 교재) |
||
쓰기:자음 24자와 기본모음을 활용한 글자 |
강의영상, 과제 (주교재 : 1-3강 교재) |
||
2 |
자음의 명칭과 성조구별을 위한 분류 원칙 |
강의: 자음 20자의 명칭과 음절 읽기 |
강의영상, 과제 (주교재 : 2-1강 교재) |
강의: 자음의 분류 |
강의영상, 퀴즈 (주교재 : 2-2강 교재) |
||
쓰기:자음 20자와 기본모음, 받침을 활용 |
강의영상 (주교재 : 2-3강 교재) |
||
3 |
자음의 성조법(무형성조) |
강의: 성조를 위한 자음 분류 |
강의영상 (주교재 : 3-1강 교재) |
강의: 무형성조법 |
강의영상, 퀴즈 (주교재 : 3-2강 교재) |
||
쓰기: 생음과 사음 문자 쓰기와 성조 익히기 |
강의영상 (주교재 : 3-3강 교재) |
||
4 |
유형성조와 이중모음, 음절모음, 이중자음 |
강의: 유형성조법 |
강의영상 (주교재 : 4-1강 교재) |
강의: 이중모음, 음절모음, 이중자음 |
강의영상, 퀴즈 (주교재 : 4-2강 교재) |
||
쓰기: 태국어 문자 쓰기 |
강의영상 (주교재 : 4-3강 교재) |
||
5 |
표기법: 무형모음, 변형모음, 차용어 |
강의: 무형모음과 변형모음 |
강의영상 (주교재 : 5-1강 교재) |
강의: 차용어 표기 |
강의영상, 퀴즈, 과제 (주교재 : 5-2강 교재) |
||
쓰기: 태국어 문자 쓰기 |
강의영상 (주교재 : 5-3강 교재) |
||
6 |
자음의 변화 |
강의: 중자음화, 고자음화, 이중자음 성조법 |
강의영상 (주교재 : 6-1강 교재) |
강의: 차용어 발음과 성조 바꾸기 연습 |
강의영상, 퀴즈 (주교재 : 6-2강 교재) |
||
쓰기: 태국어 문자 쓰기 |
강의영상, 기말고사 (주교재 : 6-3강 교재) |
이수/평가정보
과제명 |
퀴즈 |
토론 |
과제 |
기말고사 |
반영비율 |
30% |
10% |
10% |
50% |
※ 총 60%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1. 본 강좌의 수준
본 강좌는 태국어를 처음 배우고자 하는 학습자를 위한 입문과정으로 태국어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어도 수강이 가능하다.
태국어는
자음의 수도 많고 로마자가 아닌 고유의 문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처음 배우기를 시도하는 학습자에게는 다른 언어에 비해 진입장벽이
높은 편이다. 하지만 문자 체계를 이해하고 나면 성조도 자동으로 해결되기 때문에 반드시 거쳐야할 과정이다.
2. 선수요건
태국어 입문 학습자를 위한 기본 강좌이므로 학습에 앞서 요구되는 조건은, 주차별 강좌에 들어가기 전 반드시 해당 교재를
읽고
숙지하는 예습과 강좌 후 복습을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1. 본 강좌의 주교재
본 강좌의 주차별로 제공하는 자료를 다운로드 하여 사용.
2. 참고문헌
안종량 외,『기초 태국어』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외국어라면 반드시 우리말과 다른 음성들이 있게 마련입니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 다른 외국어에 비하면 우리말과 같은 소리글자이고 받침 소리가 같기 때문에 성조를 제외하면 크게 어려운 발음은 없습니다. 한국어에 없는 자음은 [ ฟ, ง, ร ]가 있습니다. [ ฟ ]발음은 영어의 [ f ] 발음을 할 줄 알면 해결되고 [ ง ] 발음은 [응] 발음을 할 수 있기에 문제가 없습니다. [ ร ] 발음은 연습을 해야 합니다.
태국어의 성조는 평성을 포함하여 5가지가 있습니다. 태국어의 문자 체계를 이해하면 단어의 성조를 자동으로 알 수 있기 때문에 중국어처럼 단어마다 성조가 몇 성인지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평성 외 1성부터 4성까지 소리를 내고, 이를 듣고 구별하기 위해서 부단한 연습이 필요합니다.
태국어의 어순은 한국어와 같지 않고 영어와 거의 같습니다. 태국어는 동사나 형용사의 형태가 변하지 않는 고립어이고 주어 목적어 등의 격조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문법이 간단한 편입니다. 문자 배우기를 마치고 나서 6개 정도의 기본 문형만 배우면 문장 만들기는 쉬운 편입니다.
태국 문자를 배우지 않고도 태국어를 말할 수는 있습니다만 이는 글을 읽거나 쓸 줄을 모르는 문맹인 것이지요. 본 강좌는 태국어 배우기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학습자에게 문자를 읽고 쓸 줄 알게 되면 태국어가 어렵지 않다는 것을 알리고 회화든 번역이든 문자를 먼저 익혀야 한다는 취지에서 개설하였습니다.
많으면 많을수록 좋겠습니다. 기본적인 외국어 습득에는 2,600시간의 연습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제한된 시간에서 일상적으로 널리 자주 사용하는 어휘부터 시작해서 본인이 관심을 갖는 분야의 어휘를 습득해야 되겠지요. 일반적으로 나만의 문장 400개에서 사용하는 어휘를 알면 좋겠습니다. 어휘자료로 안종량 외,『기초 태국어』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의 부록편에 필요 단어를 주제별로 수록하고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시중에 스마트폰의 앱이나 네이버의 태국어-한국어 사전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