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 '자원봉사 시민교육' 을 말하나?
하나, 우리나라 자원봉사 교육 수요는 매년 90만명 이상 확대되고 있습니다.
둘, 그러나 오프라인 교육 만으로는 교육수요 충족이 부족 합니다.
셋, 자원봉사 부분에서도 시민성, 공동체성의 가치 확산을 위한 교육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부산디지털대학교에서는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와 함께 온라인 자원봉사 시민교육 강좌를 개설하였습니다.
주학습자 | 자원봉사 신청자, 자원봉사자 | |
---|---|---|
관리기관 | · 지역자원봉사센터(247개) · 1365자원봉사포털(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
|
강좌내용 연계성 | · 시민성에 기반한 자원봉사의 가치 및 필요성과 참여절차 등(1~8주) |
· 자원봉사분야별 필요기술 및 자원봉사 프로그램 기획과정 등(9~15주) |
교육 Level | · 기초교육(1~8주) | · 보수교육(9~15주) |
모듈 | 주차 | 주제 | 차시별 학습내용 |
---|---|---|---|
1. Ice Breaking | 1 | 내가 생각하는 자원봉사 | · 스토리가 있는 자원봉사 |
· 자원봉사에 대한 생각나누기 | |||
2. 시민성이 뭘까? | 2 | 권리와 책임 | · 주권자로서의 권리 |
· 시민의 책임 | |||
3 | 공공성과 공정성 | · 공공성의 본질을 묻다 | |
· 공정과 불공정을 알다 | |||
4 | 다양성존중과 배려 | · 차이나는 시대를 산다 | |
· 지역공동체를 살리는 배려 | |||
3. 지속가능한 미래, 자원봉사에서 길을 찾다 | 5 | 자원봉사 기본을 알자 | · 자유의지를 기반한 자발성 |
· 자원봉사인정 | |||
6 | 왜 자원봉사인가? | · 자원봉사의 필요성 | |
· 자원봉사자의 역할과 자세 | |||
4. V-road, 자원봉사에서 길을 찾다 |
7 | 사명선언문 나누기 | · 사명선언문 나누기 |
· 자원봉사의 길(스토리텔링) | |||
5. 왜 자원봉사에 참여할까? | 8 | 동기 이론으로 본 자원봉사 | · 자원봉사 동기이론 |
· 동기 유형별 자원봉사자의 특성 | |||
9 | 나에게 맞는 자원봉사 찾기 | · 생애주기별 자원봉사자 특성 | |
· 나에게 맞는 자원봉사 찾기 | |||
6. 생활 속의 자원봉사 | 10 | 지역사회, 마을공동체를 튼튼하게 | · 사회문제 해결형 자원봉사 |
· 마을공동체 만들기와 자원봉사 | |||
11 | 환경과 재난재해 분야 | · 숲 생태 해설 활동 | |
· 태안의 기적, 수해현장을 가다 | |||
12 | 자원봉사와 여가문화 | · 찾아가는 공연 서비스/월아트 | |
·볼런테인먼트 | |||
7. 자원봉사 프로그램 기획해볼까? | 13 | 아젠다형 프로그램 준비, 기획하기 | · 아젠다형 프로그램의 이해 |
· 프로그램 준비, 기획하기 | |||
14 | 아젠다형 프로그램 실행, 평가하기 | · 프로그램 실행하기 | |
· 프로그램 평가하기 | |||
8. 성찰일지 (활동보고서 작성하기) |
15 | 활동보고서 작성하기 | · 활동 후 평가하기 |
· 의견 도출기법 |
강의 시작 | 모듈 | 주차 | 주제 | 차시별 학습내용 |
---|---|---|---|---|
2020.3.23 | 1. Ice Breaking | 1 | 내가 생각하는 자원봉사 | · 스토리가 있는 자원봉사 |
· 자원봉사에 대한 생각 나누기 | ||||
2020.3.30 | 2. 시민성이 뭘까? | 2 | 권리와 책임 | · 주권자로서의 권리 |
· 시민의 책임 | ||||
2020.4.6 | 3 | 공공성과 공정성 | · 공공성의 본질을 묻다 | |
· 공정과 불공정을 알다 | ||||
2020.4.13 | 4 | 다양성존중과 배려 | · 차이나는 시대를 산다 | |
· 지역공동체를 살리는 배려 | ||||
2020.4.20 | 3. 지속가능한 미래, 자원봉사에서 길을 찾다 | 5 | 자원봉사 기본을 알자 | · 자유의지를 기반한 자발성 |
· 자원봉사인정 | ||||
2020.4.27 | 6 | 왜 자원봉사인가? | · 자원봉사의 필요성 | |
· 자원봉사자의 역할과 자세 | ||||
2020.5.4 | 4. V-road 자원봉사에서 길을 찾다 |
7 | 사명선언문 나누기 | · 사명선언문 나누기 |
· 자원봉사의 길(스토리텔링) | ||||
2020.5.11 | 5. 왜 자원봉사에 참여할까? | 8 | 동기 이론으로 본 자원봉사 | · 자원봉사 동기이론 |
· 동기 유형별 자원봉사자의 특성 | ||||
2020.5.18 | 9 | 나에게 맞는 자원봉사 찾기 | · 생애주기별 자원봉사자 특성 | |
· 나에게 맞는 자원봉사찾기 | ||||
2020.5.25 | 6. 생활 속의 자원봉사 | 10 | 지역사회, 마을공동체를 튼튼하게 | · 사회문제 해결형 자원봉사 |
· 마을공동체 만들기와 자원봉사 | ||||
2020.6.1 | 11 | 환경과 재난재해 분야 | · 숲 생태 해설 활동 | |
· 태안의 기적, 수해현장을 가다 | ||||
2020.6.8 | 12 | 자원봉사와 여가문화 | · 찾아가는 공연 서비스/월아트 | |
·볼런테인먼트 | ||||
2020.6.15 | 7. 자원봉사 프로그램 기획해볼까? | 13 | 아젠다형 프로그램 준비, 기획하기 | · 아젠다형 프로그램의 이해 |
· 프로그램 준비, 기획하기 | ||||
2020.6.22 | 14 | 아젠다형 프로그램 실행, 평가하기 | · 프로그램 실행하기 | |
· 프로그램 평가하기 | ||||
2020.6.29 | 8. 성찰일지 (활동보고서 작성하기) |
15 | 활동보고서 작성하기 | · 활동 후 평가하기 |
· 의견 도출기법 |
기초학습 | 중간평가 | 심화학습 | 기말평가 |
---|---|---|---|
1주~8주 | 8주 | 9주~15주 | 15주 |
1. Ice Breaking | 직무역량 자가점검 |
5. 왜 자원봉사에 참여할까? | 직무역량 자가점검 |
2. 시민성이 뭘까? | 6. 생활 속의 자원봉사 | ||
3. 지속가능한 미래, 자원봉사에서 길을 찾다 | 7. 자원봉사 프로그램 기획해볼까? | ||
4. V-road, 자원봉사 길을 걷다 | 8. 성찰일지(활동보고서 작성하기) |
1. 본 강좌는 총 15주 동안 각 주차별 동영상 학습과 학습 활동(퀴즈, 생각나눔), 수행평가(성찰일지)에 참여하고, 최종 평가(중간, 기말)까지 참여하면 마무리 됩니다.
2. 평가는 성찰일지 60%, 중간평가 20%, 기말평가 20%만 반영합니다.
평가도구 | 성찰일지 | 중간평가 | 기말평가 | 합계 |
---|---|---|---|---|
일지제출 | 직무역량 자가점검 체크리스트 | |||
반영비율 | 60% | 20% | 20% | 100% |